안녕하세요 감자 입니다. 오늘은 허리와 등의 해부학적 차이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는 TLJ syndrome(thoracolumbar junction syndrome, 흉요추연접부 증후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LJ syndrome(흉요추연접부 증후군)이란 흉추와 요추의 경계에 있는 척추 높이에서의 문제로 해당 부위와 주변부위에 통증, 감각에 이상을 일으키는 임상 증상을 통칭하는 증후군입니다. 모든 척추 높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지만 특별하게 흉추, 요추의 사이에 문제가 나타나는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흉추와 요추의 해부학적 차이 때문입니다. 흉추는 좌우 회전 움직임에 특화되어 있고 요추는 앞뒤 굴곡과 신전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몸을 회전할 때는 모든 척추가 조금씩 돌아가는 게 아니라 흉추가 대부분의 움직임을 만들어냅니다. 우리가 몸을 앞으로 숙이고 뒤로 젖힐 때는 반대로 흉추가 아니라 요추가 대부분의 움직임을 만들어냅니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움직임의 차이 때문에, 몸을 비틀며 숙이거나, 좌우로 물건을 계속 나르는 등의 일을 하는 경우에 흉추와 요추 사이에서 퇴행이 빨리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주변 조직과의 유착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증상은 흉추와 요추가 만나는 부분에서 통증, 감각과민 등이 발생하며 주변에도 통증을 발생하게 됩니다. 위에 그림에서 보다 싶이 보통은 편측으로 골반 윗쪽, 서혜부, 고관절 주변부에 통증과 감각이상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갑자기 서혜부나 사타구니 통증이 생겼을 때 환자분들이 먼저 흉요추 연접부에 이상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아예 관련이 없을 거라고 생각하고 특별히 허리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는 경우도 계십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증상이 생기거나 몸을 비틀며 운동이나 일을 하며 증상이 생긴 경우가 있으시다면 TLJ ...
일본에도 한의학이 있을까?(1) - 한의학은 일본에서 어떤 모습일까- 한의학은 동아시아 전통의학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북한에서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습니다. 공식표기는 국가별로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의 한의학 (韓醫學, Korean Medicine) 일본의 한방의학 (漢方医学, Kampo Medicine) 중국의 중의학 (中医学, Chinese Medicine) 북한의 고려의학 ( 高 麗 醫 學 ) 이 중에서 일본의 한의학인 한방의학(漢方医学, Kampo Medicin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본은 의사, 한의사 구분이 없이 단일의사면허 체계로 되어 있습니다. 일본에서의 의사는 한방, 양방의 의료기술을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일 의사면허 체계인 일본에서는 현재 148개의 한방약이 국가건강보험으로 인정받아 처방되고 있으며 의사들은 별도의 제한 없이 일상 진료에서 양약과 한약을 통합하여 처방할 수 있습니다. 2008년 일본 전역의 의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3.5%의 의사들이 현재 한약을 실제 처방 하고 있으며 과별로 보면 내과(88.8%), 산부인과(86.7%)에서 사용비율이 높았고 소아과(68.1%), 정형외과(71.2%)에서 사용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민족의학신문] 일본내 의사 83.5% 한약 사용 다시 말하면, 일본에서는 의사들이 한약을 자유롭게 사용가능하며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 중심에는 일본동양의학회( 日本東洋医学会 )가 있습니다. 일본동양의학회는 1950년에 설립되어 동양의학의 연구, 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이 진행 중이며 약 8천여명의 정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의사 7107명, ...
안녕하세요 감자 입니다. 요즘 냉동삼겹살이 한창 유행입니다. 예전에는 포장마차나 주로 아저씨들의 전유물이었던 냉동삼겹살이 레트로 열풍을 타고 남녀노소가 많이 즐기는 음식이 되었습니다. 돼지고기와 김치의 조합은 실패하기 어렵습니다. 삼겹살과 김치 정말 맛있죠. 같이 먹으면 더 맛있죠. 하지만 저는 사실 냉동삼겹살을 절대 먹지 않습니다. 낡은 양푼 냄비에 끓여나오는 김치찌개도 마찬가집니다. 이유는 바로 알루미늄에 대한 걱정 때문입니다. 알루미늄은 지각의 원소 중 8%를 차지합니다. 무려 철 보다도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알루미늄은 외부 환경에 부식성을 가지고 많은 양과 가공의 편의성 때문에 값싼 물건에서 부터고부가가치의 제품들에 다양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부엌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알루미늄 호일이 대표적 입니다. 알루미늄 호일의 높은 열전도율 덕분에 냉동삼겹살을 순식간에 익혀줍니다. 또 호일만 벗겨서 버리면 되기 때문에 편리한 점도 있습니다. 그런데 과연 알루미늄 호일을 요리 과정에 이용하는 게 건강에 문제는 없을지 의문이 듭니다. 궁금해서 논문을 찾아보았습니다. 출처 음식을 준비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여러가지 실험을 하였습니다. 알루미늄 호일을 끓는 온도에 노출시키기도 하고 오븐에서 185도에 노출시키는 혹독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음식 종류에 따른 영향을 보기 위해 음식을 다양하게 섞어서 비교하기도 했습니다. 좌측의 그림은 2시간 동안 물이 끓는 온도에 노출 시킨 것이고 우측 사진은 185도 오븐에서 1.5시간 동안 노출된 사진입니다. 전후를 비교해보시면 알루미늄 호일이 크게 손상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러 실험 결과 저자는 결론을 내립니다. 그대로 번역을 해보자면, "알루미늄 호일이 음식으로 침출되는 것은 증기나 액체에서 마찬가지이다....
댓글
댓글 쓰기